네트워크는 어렵다? 아니! 한드림넷을 만나면 즐겁다! 10장으로 끝내는 네트워크 기초 다지기, Network is Fun! 24번째 주제는 VLAN[2]입니다.
012345678910
네트워크는 어렵다? 아니! 한드림넷을 만나면 즐겁다!
10장으로 끝내는 네트워크 기초 다지기, Network is Fun! 24번째 주제는 VLAN[2]입니다.
오늘은 먼저 지난번 VLAN을 복습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위의 그림과 같은 구성에서 Frame은 어떻게 전달이 될까요?
Frame이 첫 번째 Switch로 들어왔을 때, VLAN1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첫 번째 Switch는 Frame에 VLAN1 정보를 붙이게 됩니다. 그 다음 다시 Frame을 내보낼 때에는 VLAN 정보를 떼고 Frame만 내보냅니다. (* 23번째 카드뉴스 참고)
그리고 두 번째 Switch 역시 같은 방법을 통해 Frame을 전달하게 됩니다.
이번에는 이전과 다른 구성에서 Frame이 어떻게 전달되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위의 그림과 같은 구성에서 Frame은 어떻게 전달이 될까요?
첫 번째 Switch는 내부에서 Frame에VLAN1 정보를 붙였다가 일반 Frame만 전송할 것이고, 두 번째 Switch는 VLAN2로 Frame이 들어왔으니 Frame에 VLAN2 정보를 붙이게 됩니다. VLAN2 정보를 붙였으니 다른 VLAN으로 나가지 못하고, VLAN2로만 나가면서 일반 Frame만 전송될 것입니다.
그럼 VLAN1은 1번끼리, VLAN2는 2번끼리, VLAN3은 3번끼리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위의 그림처럼 VLAN별로 포트 하나씩 연결하면 가능합니다!
하지만 Switch간 같은 VLAN에 해당하는 포트들을 모두 케이블로 연결하는 것은 매우 비효율적입니다.
예를 들어, 100개 이상의 VLAN을 사용하는 곳에서는 VLAN간의 통신을 위해 100개 이상의 포트가 필요한데 이렇게 되면 너무 복잡해지겠죠!
그렇다면 효율적으로 VLAN간의 통신을 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바로 Trunk Port입니다!
Trunk Port란 하나의 포트를 통해 서로 다른 여러 개의 VLAN을 전송할 수 있게 하는 포트입니다.
Trunk 포트를 이용해서 Frame을 전달해볼까요?
이전과 달리 첫 번째 Switch에서 붙인 VLAN 정보가Trunk Port를 통해 두 번째 Switch로 전달이 되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