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는 어렵다? 아니! 한드림넷을 만나면 즐겁다! 10장으로 끝내는 네트워크 기초 다지기, Network is Fun! 열여섯번째 주제는 DHCP입니다.
01234567891011
Network is Fun!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오늘은 우리의 오래 전 기억을 되살려서 퀴즈를 내보도록 하겠습니다! ★문제:네트워크에 연결된 모든 기계가 서로 통신을 하기 위해 꼭 가지고 있어야 하는 것은?★ 과연 정답은! 두구두구두구두구~
정답은 바로 IP 주소입니다. IP 주소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고 싶으신 분은 3장에 있는 MAC & IP 주소를 참고해주세요^.^
IP 주소는 네트워크에 소속되어 있는 모든 장비에 할당할 수가 있는데요. 할당 방법은 정적 할당과 동적 할당 2가지로 나뉘어집니다. 먼저 정적 할당은 동일한 IP 주소를 계속 사용해야 하거나 IP 주소가 변경되면 곤란한 장비에 관리자가 직접 수동으로 입력해주는 방법입니다.
이와 반대로, 동적 할당은 관리자가 수동으로 IP 주소를 타이핑하지 않고, 모든 컴퓨터에 IP 주소를 전달해주는 자동화된 메커니즘을 제공하는 방식입니다. 이 때, 동적 할당으로 IP 주소를 배포할 때 사용하는 프로토콜이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입니다.
이러한 DHCP를 사용하게 되면 어떠한 장점이 있을까요? 1. IP 관리가 편하다. DHCP 서버에서 IP를 자동적으로 할당해주기 때문에 수동으로 IP 설정 시 오타 확률을 줄일 수 있으며, 중복되는 IP 충돌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2. 네트워크 연결 설정 시 시간 단축이 가능하다. 네트워크에서 사용하는 IP 주소를 DHCP 서버가 중앙집중식으로 관리하기 때문에 네트워크 연결 시 특별한 설정 없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DHCP의 구성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특정 네트워크 영역에서 DHCP 클라이언트들이 IP 주소를 요청하고, DHCP 서버는 요청을 받아서 IP 주소를 할당합니다. 이와 함께, 클라이언트의 TCP/IP 설정이 초기화되고 다른 PC와 통신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여기서 잠깐! 분명 IP 주소가 없으면 통신을 할 수 없다고 했는데.. 그렇다면 Client는 어떻게 DHCP 서버에 요청을 보내는 걸까요? 정답은 바로바로! 브로드캐스트입니다.
즉, 같은 네트워크 영역에 있는 모~~든 PC들에게 "저는 A라는 클라이언트 인데요, 이 편지를 받는 분 중에 DHCP 서버님이 계신다면 저에게 답장을 좀 주세요!"라는 메세지를 보내서 요청하는 것이죠. 요청 받은 DHCP 서버는 해당 메시지를 보낸 클라이언트에게 IP를 할당해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