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장으로 끝내는 네트워크 기초 다지기, Network is Fun! 열네번째 주제는 PoE입니다.
0123456789
Network is Fun! Power over Ethernet(PoE)
오늘은 전산실에 방문해보았어요. 온갖 장비들과 케이블이 뒤얽혀 혼돈의 카오스를 목격할 수 있는 곳이죠.
이 복잡한 광경을 보고 있자니 멍팀장의 고민은 더욱 심각해졌는데요. 주차장에 새 카메라를 설치해야 하기 때문이죠. 수십대에 카메라에 네트워크선과 전원선을 연결할 생각을 하니까 머리가 지끈지끈
그 때 들려온 댕대리의 한 마디! "멍팀장님, PoE 장비를 도입하시는 건 어떠세요?"
PoE란 Power over Ehternet의 약자로, 인터넷 케이블 하나로 데이터와 전원을 동시에 전송하는 기술이에요. 기기에 전원 코드를 따로 꽂을 필요가 없어 설치가 간편하고, 설치 비용도 크게 줄일 수 있죠. PoE 스위치 등의 허브 장비는 하단에 연결된 IP 카메라, VoIP 저화, 무선 AP 등에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고 관리해요.
PoE의 개발 배경을 살펴보면요. 산업 현장에 다양한 장비가 도입되면서 각 장비별로 전원 공급을 위한 장치가 필요하게 됐죠. 여기에 인터넷 기술의 발달로 현장의 원활한 관리감독과 업무 효율을 위한 장비들의 네트워크 연결이 대중화됐어요. 그 결과 현장의 와이어링수는 계속해서 증가!하면서 국수자락같은 케이블의 대 향연이 발생한거죠. 이 때 다행히 TCP/IP로 네트워크 표준화가 이루어지면서 이더넷 케이블 하나로 전원과 데이터를 모두 공급할 수 있게 된거에요.
PoE의 기준은 현재 두 가지가 있는데요. 먼저 IEEE 802.3af는 2003년에 제정된 기준이에요. IEEE는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의 약자로 미국국가표준을 개발하도록 인증받은 전문 기구인데요. 이 기구에서 정한 LAN/MAN의 여러 기준 중에 802.3af는 PoE 장비에 해당하는 표준 규격이죠. IEEE 802.3af를 충족하는 제품은 포트당 최대 15.4w의 전력과 최대 350mA의 전류를 제공해요. 이 최대 전력과 최대 전류를 확대한 기준이 2009에 개정된 IEEE 802.3at인데요, PoE 디바이스의 성능이 향상되면서 포트당 최대 전력을 30w, 최대 전류를 600mA로 보완한 기준이에요.
현장에서 사용하는 PoE, 을마나 좋냐면요~ 우선 지능적인 전원 공급이 가능해요. 네트워크를 통해 보안 감시 관리자가 전원을 차단하거나 재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고, 과부하로 인한 누전으로부터 장비가 자동으로 보호되기 때문이죠. 또한 설치 비용이 싸고, 설치 방법은 간편하다는 것도 매우 중요한 장점인데요. 중앙집중식 UPS 시스템과 연결하면 메인 전원이 차단돼도 기기가 자동으로 동작되고, 전원 코드를 꽂을 필요가 없어 설치 위치 선정이 자유로와요. 아, 구입 단가가 조금 비싸다는 것은 염두에 두셔야겠죠?
PoE 기능이 있는 무선공유기, IP카메라, VoIP 전환느 PoE 스위치를 통해 전원과 데이터를 공급받아요. 이 PoE 스위치는 상단의 이더넷 스위치와 연결돼 데이터를 주고 받게 돼고요. 스위치들의 전원은 UPS 장비에서 공급받죠.